이클립스 개발 시 안드로이드 팁!

이클립스의 문서 인코딩 기본 값은 MS949이다.


기본 값으로 설정되어있는 MS949 으로 코딩을 해도 무관하나,


추후에 작업을 위해서 UTF-8 로 변경하는 것이 좋다.


만약 많은 문서파일(*.java 또는 그 외)을 작업하다가 


중간에 UTF-8로 바꾸게 되면 한글이 다 깨져서 나오게 된다. ( □ <- 이렇게 막 나온다 )


만약 한글 텍스트가 많을 경우, 이미 바뀌어 버린 메시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 


난감한 상황 발생!


미리미리 UTF-8로 설정해 두자.



방법은..

이클립스 메뉴에서 Window - General - Workspace - Text file encoding 에서 Other -> UTF-8











expertofácil

티스토리 가입하고 쓰는 첫 글! ^^

먼저 초대장을 허락해주신 PLUSTWO 님께 우선 감사드립니다.

http://plustwo.tistory.com/

본 블로그의 주 목적은 안드로이드이기 때문에

첫 글은 안드로이드로 장식 ^^

.

.

본론으로 넘어가서_

오늘의 포스트는 이클립스에서 안드로이드(개발) 실행 시에

디바이스 선택의 속성 중의 하나인 state가 offline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알리고자 한다.


안드로이드 어플을 실행할 때

에뮬레이터나 안드로이드폰을 이용하여 실행되는데,

안드로이드폰이 PC와 연결되어 있을 경우(디버그 모드),

안드로이드 코드를 Run하게 되면 다음과 같은 화면(Android Device Chooser)이 뜬다.



디바이스 선택기가 나타나면 이 안에는 시리얼 넘버, AVD명, 타겟 그리고 State(상태)등의 속성이 

나타나는데, 일반적으로 State에는 Online으로 나타나야 한다.

그러나 가끔 알 수 없는 이유로   ----->(원인을 알게 되면 추후에 업데이트 하겠음)

State가 offline으로 나타난다.

이렇게 되면 OK 버튼이 활성화되지 않기 때문에,

결과적으로 어플을 실행해 볼 수 없다!!


PC와의 연결에도 문제가 없는데???

USB 드라이버를 다시 깔아야 하나???

아니다.

그럼 해결 방법은??

.

.

폰을 껐다 키면 된다....

.

.

.

허무하다..  (마치 예전에 PC방 개그가 생각난다.. "재부팅하세요!")

아직 나로선 정확한 원인이 파악되지 않았다.

일종의 버그나 충돌이라고 생각중 


// 문의 또는 잘못된 정보 등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^^




expertofácil

+ Recent posts